최현 기획 상영전

지역 인물 조명 기획 상영전
'최현 회고전: 영화인 최현, 무용인 최현'

일시 : 2019.06.13(목) ~ 06.20(목)
장소 : 씨네아트 리좀
주최 : 씨네아트 리좀, ACC 프로젝트
후원 : 영화진흥위원회, 창원시

모시면서

씨네아트 리좀은 예술·독립 영화를 통해 다원적·융복합적·대안적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구 마산 원도심 창동을 예술특구로 조성할 뿐만 아니라 수도권 중심의 국제문화교류를 넘어 지역을 거점으로 하는 글로벌 문화예술 토양을 다지고자 하는 노력들을 해왔습니다. 

이번 <무용인 최현, 영화인 최현>은 무용가이자 영화인인 최현 선생을 통해 무용과 영화의 관계를 조명함으로써 당대 활동했던 예술인들을 보다 잘 이해하고 또한 마산이 배출한 한국예술의 주요 인물들을 조명함으로써 지역예술의 풍토와 환경을 되돌아보는 기회로 삼고자 합니다. 

<삼천만의 꽃다발>에서 주연배우로 시작한 최현의 영화는 안타깝게도 현재 <시집가는 날>만 상영이 가능한 상태입니다. 이 영화를 중심으로 다양한 무용 관련 영화를 엮어 보았습니다.  

2017년 김해랑 선생에 대한 조명에 이어 2019년 리좀의 지역예술인 탐구의 제 2탄으로 마련한 최현이라는 인물을 중심으로 한 다양한 프로그램에 여러분을 모시고자 합니다. 함께 해 주시기 바랍니다.

최현

1929~2002, 영화배우, 무용가

최현(본명 최윤찬)은 국내 최초로 열린 전국노래경연대회에서의 입상을 계기로 '지평선 악극단'과 '동반 가극단'에서 일하게 되었고, 이를 계기로 마산에서 활동하던 무용가 김해랑 선생과 연을 맺게 된다. 

1946년 최현 나이 18세 김해랑 무용연구소에 입문하여 민속춤의 유형별 특징을 연구하며 창작법을 익혔다. 이때 스승의 도움으로 마산 상업중학교 야간부에 입학하여 무용과 학업을 병행하였으며, 1951년 그의 나이 22세(고등학교 2학년) 신경균 감독의 영화 <삼천만의 꽃다발>의 주인공으로 발탁되어 영화계에 데뷔했고 그후 약 10년간 11편의 영화에 출연했다. 

최현이 배우로서 이름을 알린 영화 <시집가는 날>은 오영진의 희곡 <맹진사댁 경사>를 영화로 만든 작품으로 한국영화 최초의 국제영화제 수상작으로 기록되었다. 그는 자신이 출연한 영화 <춘향전>과 <시집가는 날>을 무용극으로 바꾸어 기획하고 안무했으며, 무용극에서 연기적인 몸짓을 통해 표현하는 것을 넘어서 극중의 인물을 파악하고 개성을 불어넣어 절도 있고 생동감 있게 표현하는 것을 강조했다. 이처럼 무용극에서 드라마적인 요소를 적극 도입하려 애쓴 흔적들은 한국 현대무용의 발전을 위한 밑거름이 되었다고 할 수 있다. 

출연영화

1951년  <삼천만의 꽃다발> 주연  
1954년  <혈로(血路)> 조연
1956년  <시집가는 날> 미언役
1958년  <춘향전> 이도령役
1958년  <자유결혼> 상호役 
1958년  <어느 여대생의 고백> 준철役
1959년  <애모(愛慕)> 조연
1959년  <불멸의 성좌> 주연
1960년  <저 언덕을 넘어서> 조연 
1960년  <백사부인> 조연
1962년  <성웅 이순신> 조연

주요경력

1961-62년, 1967년  서울대 음대, 사범대 출강
1981~85년  서울예술대학교 교수
1986년  아시안게임 문화축전 식전행사 '영고' 안무
1994년  대한민국 문화훈장 수상
1995년  국립무용단 예술단장
1996년  세계무용연맹 한국본부 회장

프로그램

토크┃<무용인 최현, 영화인 최현>

6.13(목) 17시-, 갤러리 리좀(3층)

이승기┃ '무용수였던 배우 최현', 전)마산문화원영상자료원장 
장승헌┃ '최현의 춤과 인생', 공연기획 MCT 대표 및 예술감독 
남정호┃ '내가 만난 최현', 전)한국예술종합학교 무용원 교수
정양자┃ '최현과 함께 춘 춤', 록파무용단 단장
이동근┃ '최현과 마산', 마산 국제춤 축제 대표 
정연규┃ '창원의 춤 계보', 대동제 대회장 

이미지 없음

춤┃정진욱 <산조춤>(최현류)  부제 <몸의 눈>

6.13(목) 17시, 갤러리 리좀(3층)

여자 전신은 예리한 눈으로 되어 있음을 뜻한다. 
한 여인의 정서를 인생, 사물, 우주를 통해 꿰뚫어 보는 눈빛에다 비유하여 님의 흔적을 작은 부채에 담고 여인의 희노애락을 한국춤 정.중.동의 기법과 절제된 감정으로산조의 흩어진 가락 가락에 최현류의 독특한 춤사위들로 심도있게 표현, 구사되었다.

이미지 없음

특별상영┃<시집가는 날>

6.13(목) 오프닝 행사 후, 씨네아트 리좀(B1)

감독 이병일 ┃출연 최현, 김승호, 조미령, 김유희
한국┃1956년┃70분┃드라마┃DCP 흑백

양반 가문의 허세를 혼례라는 통과의례 과정을 통해 비판하고 극중의 익살스럽고 희극적인 요소는 국내뿐만 아니라 해외에서도 인정받는다. 최현이 배우로서 이름을 알린 <시집가는 날>은 오영진의 희곡 <맹진사댁 경사>를 영화로 만든 것으로 1975년 제 4회 아시아 영화제 희극영화 특별상을 수상하면서 한국영화 최초의 국제영화제 수상작으로 기록되었다. 

전시┃<최현의 발자취>

6.13(목)~20(목), 갤러리 리좀(3층)

최현 사진 슬라이드 영상
최현 추모 영상
상영 영화 포스터

이미지 없음

Guest VisitⅠ┃<구르는 돌처럼> 남정호

6.14(금) 10시30분 영화 상영 후, 씨네아트 리좀(B1)

배우 남정호┃한국예술종합학교 무용원 교수 역임

이미지 없음

Guest VisitⅡ┃<기생 : 꽃의 고백> 홍태선, 유세문

6.15(토) 16시40분 영화 상영 후, 씨네아트 리좀(B1)

감독 홍태선┃한국영상대학 교수
총괄프로듀서 유세문┃한국영상대학 교수

이미지 없음

영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