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C (Arts &Cinema Communication)
빨강 – 우주의기운과 섭리
노랑 – 하늘과땅 사이의 생명체 (인간)
파랑 – 땅의기운과 원칙
음양의 이원론적 원리와 태극의 순환구조에서 인간의 위상을더 가시적으로 나타냄
ACC(Arts &Cinema Communication)는,
사는 곳(locality)을중심으로 세계(global)와의 관계(rapport)를 정립하고,
다축문화(Pluri-culture)의구축을 통해 문화적 다양성(Culture Diversity)을 실현한다.
예술 장르의 차이(difference)를소통(communication)의 근거로 삼고
원형(archetype),변형(transformation), 퓨전(fusion) 그리고승화(sublimation)를
추적하여 미(aesthetic(美))의 중심을 찾아간다.
1. 전시, 공연, 출판기획사업
2. 영화 상영 및 토론회 조직사업
3. 인문학 강좌 개설 및 운영
4. 문화예술 비평지 및 홍보지 발간 사업
5. 시각예술 비엔날레, 무대예술 페스티벌, 영화제 및 복합성 페스티벌 조직사업
6. 예술인 레지던스 사업
7. 문화예술정책 분야 연구발표, 포럼, 국내 및 국제 세미나 등 개최
8. 문화예술발전 분야 조사, 연구 및 아카이브 구축 사업
9. 지역의 특수 문화예술관련 협력사업
10. 문화예술 관련 연구용역 수탁사업
11. 국내 예술인 유럽 등용 사업(비엔날레, 페스티벌, 영화제, 유럽전문예술공연장)
12. 다축문화(문화적 다양성)형성과 실현을 위한 사업
13. 유럽과 공동체별 국제 문화교류 사업
14. 레조(Réseau ; 유럽 문화예술경영 및 정책 최고전문가네트워크)와의 파트너십 사업
15. 국내외 문화예술단체, 문화교류단체, 예술진흥단체와의 교류 및 협력 사업
16. 기타 본회의 목적 달성에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제반 사업
-한국 예술가: 박용주, 백인환, 신선우, 신호철, 홍기하
-해외 예술가: 크리스틴 까두르(Christine CADOURS), 안느 이벙(Anne EVEN),
도미니끄 키플렌(Dominique KIPPELEN), 파트리시아 모레이라(Patricia MOREIRA), 산티 제가라 (Santi ZEGARRA)
-한국 예술가: 조성훈, 김서래, 오승운, 소해, 양서준, 이수정
-해외 예술가: 마르시알 베르디에 (Marcial VERDIER), 세골렌 페로(Ségolène PERROT), 니꿀린 베르게르(Nicolene BURGER), 비르지니 로케티 (Virgini ROCHETTI), 자라부트 츄웡페티(Sarawut CHUTIWONGPETI)
- 유창환, 김찬우, 노경호, 최수환 개인전
- 실비 드빠리스 & 금은돌의 전시 '숨'
-전시 공간 ‘리좀’ 개관전, 한국과 프랑스 현대 예술 개인전 주관
-한홍수, 김정범, 세골렌 페로, 오세견 개인전
- 한국과 프랑스 공동 전시 기획
심은록 '공상실록' 전, 장-루이 뿌와뜨뱅 '보편적인 마법! 전
정재규 CHONG Jae Kyoo, 그자비에 루케치 Xavier Lucchesi, 김형기 Unzi Kim
마르시알 베르디에 Martial Verdier, 백정기 BAEK Jung Ki, 다프네 난 르 세르장 Daphene Nan Le Sergent
ACC 목요일 프랑스 영화 상영
-‘그들 각자의 영화관’ 외 16편
- 참여 예술가: 이자벨 귀게(Isabelle GUIGUE), 임마누엘 귀게(Emmanuel GUIGUET), 최지환, 일리아드 사브치(Iliad SABCHI), 릉 이유와(LEUNG YiuWah), 박은혜, 샤흘로뜨 아비아스(Charlotte AVIAS), 허성용
- 패왕별희 등9편 상영
- 창동독립영화 굿바이 마산 등 9편 상영
- 제5회 창동영화제: 완득이 등 6편
- 성산 아트홀 소극장에 넬리 드깡의 클래식 퓨전 공연 "아스튜리아스" 내한 기획
- 심은록의 쟝 미셀 오토니엘의 예술세계 ‘나비왕자의 새벽작전’ 출판
- 박인경 초대전 ‘여백의 바깥’, 이융세 초대전‘자연 속에 숨은 신(神)’
• 제 5회 그르노블 한국설날 페스티발‘교감(Synesthésie)' 한불수교 120주년 기념특집
- 기간 :1월 23일 ~ 2월 13일
- 공연 : 이광수, 원장현, 이춘희, 채상묵, 강정숙, 양길순, 강길려, 이호연, 황순임, 이해경 등, 르노블 유로뽈 국제센터 오디토리움
- 전시 : 현대미술전시 '오리엔티티(Orientity)', 한국화전시(김경현), 한복전시, 그르노블 인터내셔널
- 요리, 다도 : 박종숙 궁중요리전문가 한국음식 및 다도시연, 그르노블 레지귀에르 호텔
- 한복패션쇼 : 정덕숙, 그르노블 문화의 전당
- 영화 : ‘영매’ (2003) 외 6편 상영과 박기복 감독 초청 설명회, 그르노블 시네마떼끄
- 문학 : 한국 작가 불문도서 전시회, 황석영 소설 '손님'을 중심으로, 그르노블 17개 시립 도서관
• 제 4회 그르노블 한국 설날 페스티발, ‘동양의 만남 ; 한국, 중국, 베트남’
- 기간 : 2월 4일 ~ 2월 12일
- 공연 : ‘동강생이’, 춤패 ‘뉘’, 퓨전밴드 ‘온달’ 한국춤 공연, 중앙공원 및 호셔(Hoche) 공원, ESC(그르노블 상업 그랑제꼴)
- 시가행진 : '평화의 세상', 그르노블 시내거리
- 전시 : '한국 발견하기', 디드로 대학식당, ESC(그르노블 상업 그랑제꼴)
- 설날잔치 : '아시아 설 함께 지내요', 그르노블 피에르 망데스 대학 학생회관 이브실
• ‘한국영화의 오늘’, 강연 : 프랑소와 꼬(Francois CAU), ‘르 쁘띠 뷜르뗑(Le Petit Bulletin) 주간, 그르노블 인터네셔널
• 영화 ‘송환’ 상영, 김동원, 이효인, 그르노블 시네마떼끄, 빠리 포럼 데 이마쥬
• 제 3회 그르노블 한국 설날 페스티발 ‘정중동’
- 기간 : 2월 22 일 ~ 2월 27일
- 공연 : 공연 : 조순자(중요무형문화제 제 30호 가곡예능보유자), 그르노블 국립박물관 오디토리움
- 전시 : 재불화가 ‘김명남, <발아> 판화 및 회화 전시회’, 그르노블 인터네셔널
- 영화 : 한국영화전 ‘영화 속의 한국 여성’, 그르노블 시네마떼끄
- 강연 : 서익진 교수 ‘한국의 어제와 오늘’ 강연회, 그르노블 인터네셔널
• 제 2회 그르노블 한국설날 페스티발, ‘소리와 색깔에 어우러진 한국의 혼
- 기간 : 1월 10일 ~ 1월 23일
- 전시 : 재불 현대미술가 하차연 전시 'En couleur-Fardprobe', 그르노블 인터네셔널
- 공연 : 김정애와 매성국악무용단, 그르노블 국립박물관 오디토리움
- 영화 : <서편제> 등 한국영화 17편 상영, 그르노블 시네마떼끄
• ‘이성자 50년 생애전’, 춤패 ‘뉘’ 초청, 프랑스 발로리스 국립박물관
• 제 1회 그르노블 한국설날 페스티발 ‘조용한 아침의 나라에서 몇 시간을…’
- 기간 : 2월 18일 ~ 2월 23일
- 전시 : 이성자 '미래의 새 도시계획', 그르노블 인터네셔널
- 공연 : 춤패 ‘뉘’-'사계', 하동임·김산의 '한국가요 백년사', 그르노블 올리비에 메씨아엥 공연장
- 영화 : 다비드 꺄르 브라운 영화 3편, 그르노블 대학
- 강연 : Charles Tesson 초청 강연 후 홍상수<강원도의 힘> 상영, 그르노블 씨네마테크
• 2월 3일, 제 3회 그르노블 한국설날 잔치, 전시, 뽕드끌레 시민회관
- 기간 : 2월 3일
- 전시 : 방혜자, 김명남, 유혜숙, 조미경, 김상란
- 공연 : 강미라
• 프랑스 비질(Vizille)성 국제무용페스티발, 김정애 매성국악무용단 초청, 페스티발 폐막 공연, 비질성 야외무대, 11개국 참가
- 기간 : 7월 1일
• 제 2회 그르노블 한국설날 잔치, 한국 설날 음식 시연회, 라트롱슈 시민회관
- 기간 : 2월 1일
• <한국 발견하기> 전시회, ‘일 드 마르스’ 중학교, 프랑스 뽕드끌레
- 기간 : 6월 8일 ~ 6월 19일
• 제 1회 그르노블 한국 설날 잔치, 그르노블 ALIF
- 기간 : 2월 20일
• 일프랑스 그르노블 한국문화협회 창립
- 기간 : 1월 25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