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콩, 설치미술, 홍콩 폴리테크닉 대학 아트앤디자인과 프랑스 마르세이유 국립미술학교 졸업, 타이완, 홍콩, 중국, 일본, 이태리, 네델란드, 벨기에, 프랑스, 미국 등에서 활동, ‘전쟁하지 말고 사랑을 합시다’ 사과작품 시리즈 작업으로 유명, ‘2006년 미국 존슨 베르몽 아트센터에서 자유인장학금 등 다수 수상, 아시아, 아메리카, 유럽 등 세계를 돌며 20여회의 개인전, 50여회의 단체전 그리고 30여회의 퍼포먼스에 참가함. 2013년 제 1기 창동 레지던스 입주작가
[학력]
1981-83 : 홍콩 폴리테크닉 대학 아트앤디자인 (Université Polytechnique de Hong Kong (Art & Design)
1985-87 : 프랑스 부르즈 국립미술학교 (Ecole Nationale des Beaux-Arts de Bourges – France (1er cycle))
1987-90 : 니스 국제 파일러트 학교 (EPIAR Ecole Pilote Internationale d’Art et Recherche – Villa Arson – Nice – France (2ème cycle))
1989 : 영국 에코스 에덴버러 미술학교 (Ecole des Beaux Arts d’Edinburgh Ecosse – Royaume Uni (3 mois exchange),
1990-91 : 마르세이유 국립미술학교 (Ecole Nationale des BeauxArts de Marseille – France (Année diplôme))
1991 : 조형표현 국가디플롬 취득 (DNSEP (Diplôme National Supérieur d’Expression Plastique) – Ministère de la Culture et de la Communication – Paris – France)
[주요전시]
2006 Prize of Full Freeman Fellowship – Vermont Studio Art Center - Johnson - Vermont - USA
1991 DNSEP (Diploma National Superior of Expression Plastique) - France
1991 2nd Prize of UMAM – Biennale Union Mediterranean of Modern Art – Nice - France
1983 Hong Kong Polytechnic University (Art & Design)
2013 '創意藝術 , 傳承文化' – Jockey Club Lei Yue Mun Plus – Lei Yue Mun – Hong Kong
2012 Solo 'Make love, no war' – China University of Technology Arts Center – Taipei City – Taiwan
2011 'On my way, an artist passes' – Summer Art Festival – Jaujac - France
2010 Solo 'Of course' – TaiKoo Place – Swire – Hong Kong
2009 'Oasis Mirage' – Hong Kong International Sculpture Symposium 2009 – Hong Kong
2008 'Helene Jourdan-Gassin – Look at the collection' – Gallery of the Marine - Nice - France
2007 'The 13th Anseong Juksan Inter
[수상]
2006 : 미국 존슨 베르몽 아뜰리에와 아트센터에서 자유인 장학금을 수여
(Bourse de l’Homme Libre – Centre d’Art et Ateliers de Vermont – Johnson – Vermont – USA
1991 프랑스 니스 근대미술 지중해 연합 비엔날레에서 은상 수상(2ème Prix d’U.M.A.M. - ‘Bien
가시철사가 더 이상 장애물이 아닐 때...
2013년 6월에 창동 레지던스 프로그램에 참가하기 위해 마산에 도착했을 때 나는 활기찬 근대도시를 보았다. 마산이란 이름이 창원과의 합병으로 사라졌지만 이곳 주민들이 자신들의 도시, 정신, 문화, 역사에 고착되어 있다는 사실을 확인한 것은 대단히 흥미로운 일이다. 그렇다면 이들은 화해시켜야 할 두 개의 긴장을 가지고 있는 셈이다. 그 하나는 전진의 욕망을 간직한 채 자신의 뿌리에 충실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그들의 공동 유산을 활성화시키기 위해 미래로 나아가는 것이다.
이 레지던스 프로그램에 참가하는 동안 나는 무기 부품들을 소재로 작업을 계속할 생각이다. 모든 형태의 폭력의 소멸을 통해 평화의 도래를 이루기 위한 수단으로 과일을 선택했고, 이것을 중심으로 나의 사색을 전개하고자 한다.
이번 설치미술 작품은 천정에 고정된 철사에 의해 수직방향으로 걸려있는 사과들을 보여준다. 천정에서 사과에 이르는 철사의 부분은 가시가 그대로 있지만 사과를 관통한 후 땅으로 가는 부분의 철사는 완전히 제거되어 누드상태가 된다.
사랑의 상징인 사과는 전쟁과 폭력을 사라지게 만드는 부적과 같다. 가시철사는 사과를 관통하며 사과로부터 영양분을 제공받으면서 무장해제 된다. 이처럼 철사는 공격적인 날카로운 가시를 벗어버림으로써 적대적인 기능을 상실하는 것이다. 무기가 사랑의 과일에 의해 과일의 줄기로 변형된다. 이 줄기는 콤파스의 바늘처럼 우리에게 평화를 얘기하는 철학으로 향하는 길을 보여준다. 여기서 유일한 규칙은 전쟁 대신 사랑을 하는 것이다.
When barbed wire is no longer a barrier
When I arrrived in Masan this June to join the Changdong Artist Residency program 2013, I found an active modern city. It is also interesting to see that, even if the name of Masan will disappear by merging with Changwon city, people will always remain attached to their hometown, their original city, its spirit, its culture, its history. So, they have two axes to reconcile: to remain faithful to their roots keeping going to steam ahead, going towards the futureto make their common inheritance alive.
During the Changdong Artist Residency program 2013, I wanted to go on working with weapons components, building a reflexion around the fruit as a tool to make advent the peace by the disappearance of every form of violence.
The installation art shows an apple crossed in a vertical way by a wire stucked from the ceiling ; the wire is barbed before it crosses the apple, but the same wire is totally denudated after crossing the apple to go down to the ground.
The apple, which symbolizes love, is like the talisman which makes disappearing war and violence: when the barbed wire crosses the fruit and is nourished by the fruit, it becomes disarmed; disarmed of its sharp and aggressive nails, disarmed of its belligerent function. A weapon is transformed by the fruit of love to become its stalk, a stalk as the arrow, the needle of a compass which is showing us the way towards a philosophy which talks about peace, whose only rule is to make love instead of making war.
4th August 2013
Masan, Changwon-City, South Korea
장소 : 에스빠스 리좀 3층
일시 : 2013년 10월 2일(수) 오후7시
차례
1/ L’art installtion passe par in-situ jusqu'à l’art installation de fruits
– 본래의 설치미술에서 과일을 사용한 설치미술까지 거치다.
2/ Des matières de la nature jusqu'aux matières de notre vie de tous les jours – 자연의 소재로부터 일상적인 삶에서 얻은 소재까지
3/ A travers les symboles pour changer notre regard habituel
– 상징들을 통해 우리의 고정된 시선을 바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