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간 : 2018년 10월 17일 (수) ~ 20일 (토)
장소 : 바스티유 디자인센터, 파리
참여예술인 : 백남준, 문신, 권순철, 김상란, 남관, 최성숙, 노은님, 손석, 한홍수, 홍일화, 김형기, 정창기, 정도준, 진유영, 요셉 보이스, 듀반 로빼즈 예뻬스, 게르하르트 바르트쉬, 마르시알 베르디에, 니쿨린 베르게르, 세골렌 페로, 샹딸 비르, 로망 꼬뀌부스, 크리스틴 까두르, 유리디스 듀플레 등 68명
주최 : ACC 프로젝트 (하효선 회장)
주관 : TOV 미술 협회(남민주 회장)
후원 : 쉼박물관, 에스빠스 리좀, 한위클리, 한불통신사
PAF 조직위원장 : 김승호
PAF 준비위원장 : 유벅
PAF 미술감독 : 심은록
제 1 회 PhilArt Festival (예술을 사랑하는 사람들의 축제, 이하 PAF)이 세계의 가장 큰 미술시장 중의 하나인 FIAC이 열리는 10월 17 일부터20일까지 파리에서 개최된다. 이 시기의 파리는 미술관, 갤러리, FIAC 을 비롯한 수많은 아트페어로 파리 전체가 커다란 축제의 장이 된다.
PAF 전시가 개최되는 바스티유 디자인 센터(Bastille Design Center)는 프랑스 대혁명의 상징인 바스티유 광장(Place de la Bastille), 민주주의 상징인 레프블릭 광장(Place de la République), 그리고 빅토르 위고 집을 포함한 유서 깊은 보주 광장(Place des Vosges), 이렇게 세 개의 유명한 광장 사이에 위치해 있다. 특히 대부분의 중요한 현대미술 갤러리들이 위치한 마레(Marais)지역에 인접해 있어, 현대미술의 산실을 체험할 수 있다.
PAF 는 다른 아트페어들과 차별화되기 위해 태어났으며, 아래의 사항들을 추구한다.
■ 그랑팔레에서 2007년부터 2016년까지 행해졌던 ‘모뉴멘타’(Monumenta)의 정신을 본받아, 바스티유 디자인 센터의 높은 천정 (높이 1013미터)을 최대한 이용하여, 1층 전체를 한 작가가 한 작품을 전시하는 것을 추진하고 지원한다. 혹은 한 팀이 한 작품의 느낌을 주는 전시를 할 수도 있다. 이로써 한 작가 혹은 한 팀의 작가적 역량을 최대한 발휘하고 키울 수 있도록 돕는다.
■ 국제적인 전시로, 아카데미적이고 실험적이며 고양된 전시를 지향한다. 작품을 팔기 위한 전시가 아니라, 전시와 작품이 좋은 경우 판매도 가능하다는 컨셉이다. 따라서, 갤러리나 컬렉터 우선이 아닌, 작품과 작가 우선의 전시를 지향한다.
■ 서양화와 동양화, 디자인, 공예 등의 모든 예술의 종류에 열려있으나, 각 층의 전시 주제와 어울리는 작품을 선별한다.
■ 매년 청년작가를 선정, ‘유예청년작가상’을 수상하며 다양한 혜택을 준다. (‘유예’는 ‘예술에서 노니다’라는 의미)
► 혜택 : 리좀국제레지던스(경남 창원시 소재) : 왕복 항공료(일반석), 레지던스 숙소 및 아틀리에 제공 및 전시 1회 후원 및 쉼박물관(서울 평창동 소재) : 전시 1회 후원.
■ 판매된 작품의 3%(작가가 원하면 그 이상)를 전쟁피해자, 장애인, 결핍아동, 유네스코, 유니세프, 등에 기부하여 도움을 준다.
■ 매년 한 부스 혹은 한 전시실 이상은 장애인 작가나 미술을 좋아하는 장애인 아동을 초대하여 개인전을 개최해 준다.
■ 부스 교환을 통해 세계의 여러 아트페어를 한 장소에서 만날 수 있도록 하고, 각 아트페어의 특징과 교류를 통해 다양성을 최대한 지향한다(2019년부터 실행).
Le premier Festival PhilArt 2018 (PAF 2018) sera organisé à Paris du 17 au 20 octobre, dans la même période que la FIAC (l'un des plus grands marchés, au monde, de l'art). Ainsi cet automne, Paris fêtera l’art contemporain avec ces nombreuses expositions dans plusieurs lieux de la capitale.
L'exposition PAF 2018 se tiendra au Bastille Design Center, lieu d’expositions artistiques contemporaines et d’évènements, situé dans un triangle formé par les places, de la Bastille (symbole de la Révolution française), de la République (symbole de la démocratie), des Vosges (abrite la maison de Victor Hugo). Il se trouve également à proximité du quartier du Marais où d'importantes galeries d'art contemporain peuvent être explorées.
PAF a été créé afin de proposer aux artistes un concept différent des expositions artistiques en poursuivant les objectifs suivants :
- Dans l’esprit et la continuité de l’exposition « Monumenta » présentée au Grand Palais de 2007 à 2016, les artistes auront la possibilité d’exploiter l’espace proposé au Bastille Design Center (plafond de 10 m de haut). Un artiste pourra exposer une œuvre au 1er étage du lieu, dans sa totalité. Les collectifs d’artistes pourront également présenter une œuvre sur un étage.
- L’exposition a pour vocation d’être internationale, académique et expérimentale. Son objectif n’est pas la vente d’œuvre, toutefois elle peut être envisagée. Cette exposition est donc principalement orientée vers l'art et les artistes, et non vers les galeries et les collectionneurs.
- L’exposition est ouverte à tous les genres d’art tels que la peinture occidentale, la peinture orientale, le design, l’artisanat, etc. L’accrochage sera effectué par un commissaire d’exposition, dans un souci d’harmonisation et en fonction des étages.
- PAF sélectionnera chaque année de jeunes artistes, en plus du « Prix Youye Young Artist » (Youye est un mot coréen qui signifie « flâner dans le monde de l’art »), pour une r
프랑스에서 이방인으로 살았던 오랜 기간 동안 저를 집요하게 따라다닌 것은 ‘이중의 부재’에 대한 고민이었습니다. 그것은 한국에서의 나의 부재와 프랑스에서 외국인으로서의 삶이 주는 부재였습니다.
이 부재는 천안문 사건과 베를린 장벽의 붕괴 등 세계사적 전환의 현장들이 저와 긴밀히 연결되어 있다는 깨달음으로 이어졌고, 현재 진행 중인 한반도의 상황이 세계사를 다시 쓸 것이라는 확신을 가져다주기도 했습니다. 한국의 바깥에서 한국의 허허실실을 알게 되었고, 모든 게 이상적인 것으로만 보였던 프랑스의 민낯도 볼 수 있었습니다. 다시 한국에 돌아온 이후 10년 동안 오랜 부재를 메우기 위해 창원에서 에스빠스 리좀을 중심으로 문화예술 기반 도심재생을 위한 노력에 집중해왔습니다.
이제 프랑스에서 외국인으로서 느꼈던 또 다른 반쪽의 부재를 메우고자 합니다. 진한 악수를 건네는 마음으로... 그러나 자신과 타자의 경계를 어떻게 허물 것인가라는 새로운 고민이 생겼습니다. 이 고민을 풀기 위한 첫걸음이 이번 ‘5대륙의 얼굴들’ 전시라 생각합니다.
한국에 살면서 세계를 향해 건네는 악수에는 좀 더 진중한 대화의 자세와 다양한 대화거리가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교류’, 그렇습니다. ‘교류하자’는 것입니다. ‘교류’에는 상호관계가 중요합니다. 진정한 교류는 상호존중을 요구합니다. 교류의 실현은 다양한 시도와 실험, 그리고 공감대 형성을 위한 철저한 준비가 필요합니다. 의도를 전달하는 데 그치지 않고, 그 의도의 관철에 이르는 과정을 세심하게 짚어가며 하나하나 해결해나가야 합니다.
새로운 도전입니다. 단순히 활동 영역을 국내에서 국제로 넓히는 데 그치지 않고, 로컬과 글로벌의 관계를 실질적으로 확립하고, 형식이나 관례도 완전히 바꾸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이번 사업이 철저히 민간 주도로 추진되었고 도움을 주는 쪽에도 관료적 형식에 따르기보다는 이 사업의 특성과 중요성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동참해 주길 바랐던 이유입니다.
프랑스에서 설날 페스티벌 등 여러 행사를 조직했던 경험이 도움이 되긴 했지만, 언제나 그렇듯이 역시 일하는 사람이 중요합니다.
무엇보다 이번 사업은 창원시의 사회적 기업 ‘에이씨씨프로젝트’ 직원들의 기동력과 집중력, 많은 노하우를 가진 김승호 작가와 유벅 작가의 헌신, 그리고 번역을 도맡았던 서익진, 서재우, 크리스틴, 비르지니, 마르시엘의 애정 어린 도움이 없었더라면 불가능했을 것입니다.
그리고 이번 PAF 2018은 순전히 예술감독 심은록의 지혜와 노력 그리고 안목이 만들었다 해도 지나치지 않습니다. 그녀는 한국과 프랑스를 오가며 실질적 총괄기획까지 맡아 이번에도 역시 무한 능력의 소유자임을 다시 한 번 확인시켜주었습니다. 프랑스 쪽 대회장으로 파리에서 활약해준 남민주 쉼미술관 관장의 노고도 컸습니다.
끝으로 이 사업을 추진하느라 애쓰는 저희를 믿고 함께 해준 많은 작가와 갤러리스트들의 협조에 깊이 감사 드리면서 함께 한 것이 좋은 결과로 이어지도록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소나무작가협회, 한위클리, 한불통신사, 중앙대 첨단영상과, TK-21 LaRevue의 후원에도 심심한 감사의 마음을 전합니다.
첫 PAF 2018 in Paris에서
대회장 하 효 선
Pendant les nombreuses années que j’ai passées en France, j’étais très préoccupée par un sentiment de “double absence” ; l’une étant mon absence en Corée, et l’autre mon absence en tant qu’étrangère vivant en France.
Cette absence m'a permis de réaliser que les événements de transformation mondiale tels que l'incident de Tiananmen et l'effondrement du mur de Berlin m’étaient étroitement liés, et je suis aujourd’hui convaincue que la situation actuelle dans la péninsule coréenne peut réécrire l'histoire mondiale. En étant à l’extérieur de la Corée, j'ai appris à connaître ses mérites et ses défauts et j'ai aussi pu voir le visage démaquillé de la France qui semblait si idéal. Depuis mon retour en Corée il y a presque 10 ans, j’ai concentré mes efforts sur la revitalisation du centre ville de Changwon, à travers la culture et les arts, un peu comme pour essayer de combler ma longue absence ici.
Je souhaite désormais compléter l’absence que je ressentais en tant qu’étrangère en France, avec une motivation et conviction profondes, mais je me heurte aujourd’hui à un autre problème, qui est : comment vais-je pouvoir briser la frontière entre moi et l’autre? Et je pense que le premier pas pour tenter de répondre à cette question est l’organisation de cette exposition “Visages des Cinq Continents”. Si l’on souhaite, tout en vivant en Corée, tendre la main au monde, je pense que nous avons besoin d’adopter une attitude sérieuse de dialogue et de divers objets de conversation. “L’échange”, c’est bien. Mais “échangeons” est mieux. Le relation mutuelle est clé dans la notion d’échange. Le vrai échange implique un respect mutuel, et la réalisation de l'échange nécessite une préparation minutieuse à travers diverses tentatives, expériences et d'empathie. Il s’agit non seulement de livrer une intention, mais également d’examiner attentivement un à un les problèmes qui peuvent survenir dans le processus conduisant à la réalisation de cette intention.
C'est un nouveau défi. Car il ne s’agit pas seulement d’élargir le champ d'activité du niveau national au niveau international, mais également d’établir la relation locale-globale et de changer complètement le format et les coutumes. C’est pour cela que cette initiative est toute à fait civile et que j’espérais que les gens puissent nous aider ou participer au projet, tout en comprenant sa nature et son importance, plutôt que de suivre un format bureaucratique.
Notre expérience de l’organisation de plusieurs événements en France, tels que les festivals du Nouvel An Coréen à Grenoble, s’avère aujourd’hui utile, mais comme toujours, les personnes qui travaillent sont aussi importantes.
Ce projet ne pourrait être réalisé sans les efforts du personnel de la société sociale "ACC Project” située à Changwon, au sud de la Coree du Sud, sans le dévouement des artistes Kim Hye et Yoo Seong il qui ont un immense savoir-faire, et également sans les aides affectueuses de Seo Ick-Jin, Seo Jae-Woo, Christine Cadour, Virginie Rochetti et Martial Verdier, chargés des travaux de traduction.
Et je souhaite aussi dire que ce PAF 2018 est le pur produit de la sagesse, l’effort et la perspicacité de Madame SIM Eunlog, notre directrice artistique. Elle s’est aussi occupée de la planification globale en effectuaent de nombreux aller-retours entre la France et la Corée, et elle démontre qu’elle a un potentiel énorme. Sans oublier la directrice du Musée Shuim, Madame Nam Min-Ju, qui a joué un rôle primordial en tant que Présidente côté français.
Je voudrais exprimer ma sincère gratitude aux nombreux artistes, conservateurs et galeries pour leur coopération, leur confiance et leurs efforts pour la réalisation de ce projet. Nous allons faire de notre mieux pour faire de cet événement un succès qui bénéficiera à tout le monde.
Et je souhaite terminer en exprimant mes remerciements profonds à l’Association des artistes de Sonamou, Han Weekly, l’Agence de presse Franco-Coréenne, le département Vidéo de l’Université Chungang et TK-21 LaRevue pour leur soutien.
A l’occasion du premier PAF in Paris,
La Presidente, Hou-Sun H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