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2년 12월 28일 뻬르튀이스 출생 (Née le 28/12/92 à Pertuis (84)), 국적: 프랑스
현재 (2012년 2013년) 그르노블 제 3대학교 스탕달 대학 문학-공연예술과 3학년 (Etudiante en 3ème année de Licence Lettres et Arts du Spectacle
Université Stendhal –Grenoble III (2012/2013)
[학력]
2011/2012년 근대문학 그랑에꼴 준비반 샹뽈리옹 고등학교, 그르노블
2010/2011년 문과 그랑에꼴 준비반 샹뽈리옹 고등학교, 그르노블
2010년 바칼로레아 성적 최고우수 마테이진느 고등학교
2004/2006년, 그르노블 국립 꽁세르봐뚜와르 Jean-Luc Chirpaz, Vladimir
Pastoukhov 와 Nathalie Markarian 교수반 음악교육과 현대무용, 고전무용 2급 디플롬 취득
[연극]
- 몰리에르의 깍쟁이 엘리즈 (Elise dans l’avare de Molière)
- 2013년 아비뇽 페스티벌 알렝 베르트랑 컴퍼니 (compagnie Alain Bertrand – Festival d’vignon 2013)
- 음악극 전문 스팩타클 “유-토피”(ʺU-topieʺt, spectacle professionnel de théâtre musical)
- 2010년 복스 인터네셔널 데아트르 (Vox International Théâtre)
- 뽕드끌레 앙피데아트르 (Amphithéâtre de Pont-de-Claix (novembre))
- 2011년 스타니슬라스 소파노르 아뜰리에 (Atelier avec Stanislas Sauphanor)
그르노블 문화의 전당 (MC2 - Grenoble)
- 2010년 즉흥 실습 (Stage d’mprovisation) - 모리스 에베르 (Maurice Hébert
- 2008년 기억상실 : 연출 실습(Stage de réalisation : Trous de Mémoire)
- 조각상 연출 테크닉(Techniques réaliste et d’effigies) - 레알 데아트 컴퍼니- 이브 동끄(Compagnie Théâtre du Réel - Yves Doncque (juillet)
- 코믹한 환상, 피에르 꼬르네이여- 마타모르 (Illusion Comique, Pierre Corneille - Matamore)
- 2008-2009년 마테이진느 고등학교 데아트 아뜰리에- 샤흘르 토르즈만(Atelier Théâtre du Lycée de la Matheysine - Charles Tordjman)
- 2004/2007년 루이 모베레 중학교 데아트 아뜰리에(Atelier Théâtre du collège Louis Mauberret - 컴퍼니 루 (Compagnie du Loup)
[무용]
- 클래식, 현대무용, 재즈, 미식 클라케트, 중동, 에코스, 르네상스, 아프리켄, 힙합, 러시아 전통무 등(Classique, contemporain, jazz, claquettes américaines, oriental, écossais, renaissance, caractère africain, hip-hop, folklorique russe).
- 현재 블라디미르 파스투코브 현대무용 상급반(Actuellement en 3ème cycle de Danse contemporaine classe de Vladimir Pastoukhov)
- 2012년, 김희진 안무 컴퍼니 몸 무용수 (Danseuse dans la Compagnie Mom
- Chorégraphe Hee-Jin Kim Invitée par Jean-Claude Gallotta)
- 2012년, 창작 아뜰리에 장 끌로드 갈로타와 그의 무용수 (Atelier de création / transmission autour du répertoire de Jean-Claude Gallotta, avec ses danseurs) :
- 2010/2012년, 까티 파스토르 안무, ‘레 쁘띠 빠 당 레 그랑’ 컴퍼니 무용수(Danseuse dans la compagnie Les Petits Pas dans les Grands Chorégraphe : Cathy Pastor)
- 2011/2012년, ABC 무용 사사 교수: Delphine Dolce, Akiko Kajihara, Christel Brink, Magali Benvenuti, Nicolas Hubert
- 2010/2012년, 현대무용 및 클라켓트 , Jean-Louis Pauget 교수 사사
- 2008년부터 Claquettes, jazz - Cathy Pastor 교수 사사
- 실습 및 훈련 Juliette Dürrleman, Sabine Novel, Mitia Fedotenko, Laurent Troudart, Michèle Wattez (현대), Naomie Yoshiba, Bruno Amilhastre, Juan Giuliano (클래식)
- 2009, 2010, 2011년 ‘땅 드 플래쉬’ 컴퍼니 실습 재즈, 마톡스 재즈, 클래식 등 (Compagnie ‘Temps de Flèche’) : Carpentras
- 2007, 2008년, 보와롱, 균형 인터네셔널 실습(Stages International Equilibre Voiron) :클래식, 현대, 중동무용, 미식 클라켓트, 살사, 힙합, 뉴스타일 힙합
- 실비 느빌르와 카트린 루데에게서 10년 발레교육
3D-입체영상은 새로운 기술이 아니다. 또한 영화․영상 상업시장에서 큰 돈 벌이가 되어 준 것도 아니다.
그럼에도 3D-입체영상이 연간 90%씩 성장할 수 있었던 원동력은 기존 문화예술을 기록, 보존하기에 적합한 메커니즘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중국에서는 막대한 자금을 투여하여 그들의 넓은 문화를 3D-입체영상으로 기록하는 작업을 지금도 계속 진행해 나가고 있다. 이를 가능하게 한 것은 그들 문화에 대한 자긍심에서 출발했을 것이라 생각한다.
나는 이번 창동레지던스에서 우리 경남의 문화를 기록하는 작업을 해보고 싶었다. 문화예술 중에서도 3D-입체영상 메커니즘을 가장 잘 활용할 수 있는 분야는 춤이라 판단하고 오광대를 생각하게 되었다.
이번 작품은 오광대 중 ‘문둥이 춤’을 3D입체영상으로 기록한 것이다.
또한 창동레지던스 사업에 참여한 작가들의 개성과 작품을 3D영상으로 제작하는 것도 즐거운 통증이었다.
[수상]
- 2010년, 라이온즈 클럽 엘로깡스 국내 꽁꾸르 수상(Lauréate du Concours National d’eloquence du Lions Clubs)
[모델]
- 2010년, Sana가 조직한 그림 실습을 위한 모델 (Modèle pour le stage de peinture organisé par Sana)
- 2009년 크리스티앙 호세 사진, 이자벨 블랑시의 ‘뚜르니코티 -투르니코타’ 컬랙션을 위한 모델 (Modèle pour la collection ‘Tournicotti-Tournicotta’ - Isabelle Blanchi, Photographe : Christian Rocher)
[기타]
- 2012년 프랑소와 골리에 단편영화 : ‘남성, 여성’, 2010년 - ‘오의 이야기’, 2008 굵은 자갈 출연 (Cinéma : courts-métrages - François Gaullier, Masculin Féminin, Histoire d’au, Les Gros Cailloux)
- 2012년, 프랑소와즈 알레이쏭의 신공연의 드라마투르지, 대본쓰기, 연출 (Dramaturgie, écriture du livret et mise-en-scène du nouveau spectacle de Françoise Alleysson –(été)
- 가창, 안무, 각본, 연출, 즉흥 등
- 프랑스어 (모국어), 이타리아어, 영어
- 가창(절대음정)
“말은 분리시키고, 춤은 결합시킨다”
- 모리스 베자르
몸을 믿는 것으로 충분하다. 몸은 우리보다 더 많은 걸 알고 있어 몸이 알아서 움직이는 대로 놔두는 게 낫다.
박은혜와 나는 거의 또는 전혀 말을 섞지 않으면서 함께 춤을 출 뿐이다. 공동의 창작을 위해, 공통의 언어를 찾기 위해 우리는 동일한 비상을 꿈꾼다. 우리는 각자의 독자성으로 인해 서로 많은 차이점을 가지고 있지만 춤을 통해 비슷해진다. 춤은 이처럼 상이한 개인성을 존중하면서 화해와 대화의 장을 만
들어준다.
8월 30일 퍼포먼스에서 우리가 얘기하고자 하는 게 바로 이것이다. 부정할 수 없는 차이점들로 인해 야기될 수밖에 없는 갈등에도 불구하고 화해는 어떻게 가능한 것일까? 그래서 우리를 분리시키는 차이점들을 무시하지 않으면서 이것들을 어떻게 우리를 더욱 풍부하게 만들 수 있는 어떤 힘으로 전화시킬 수 있을까?
거울의 양면은 서로를 반영한다. 서로를 관찰하거나 서로 재보거나 서로를 이해하기 위해서… 거울에 서로를 비춰보는 것이다. 이처럼 거울을 통해 우리
는 서로를 바라보는 상대방이 된다. 거울 속으로 들어가고 싶은 욕망, 거울을 부숴버리고 싶은 유혹. 이는 거울의 상대쪽에 있는 미지의 사람에게서 웃음과 눈물을 산산이 터뜨려버리고 싶은 욕망이자 유혹이다.
“춤은 형이상학적인 행위라고 느끼지 않으십니까?”
- 폴 발레리
"La parole divise. La danse est union."
- Maurice Béjart
Il suffit de faire confiance ànos corps : ils en savent davantage que nous, et il est sage de s’en remettre àeux et de les laisser faire...
Sans énchanger un mot - ou si peu - , Park Eun-Hey et moi dansons ensemble, tout simplement. Nous partageons un même élan vers une création commune, àla recherche de notre langage commun : une danse qui nous ressemble,
nous, dans nos différences et nos disparités ; une danse qui respecte nos individualités trèts distinctes parce qu’uniques, tout en créant un terrain d’entente et de dialogue.
C’est justement cette histoire que nous avons choisie de raconter lors de notre performance du 30 août : comment, malgréles inésvitables frictions dues àdes différences qu’il serait absurde de nier, comment une entente est possible ;
et ce, non pas en ignorant ce qui nous sépare, mais faisant de ces différences une force qui ne ferait que nous enrichir davantage.
L’une comme le reflet de l’autre de chaque côtédu miroir... s’y mirer pour s’observer, se jauger, se comprendre...devenir cette autre qui nous regarde dans ce miroir...l’envie de le traverser, la tentation de le briser...et de tout faire voler en éclats de rires et de larmes, dans cet inconnu de l’autre côttédu miroir.
“Ne sentez-vous pas que la danse est l’acte des
métamorphoses ?” - Paul Valery